본문 바로가기

읽기

소속된다는 것 - 현대 사회의 유대와 분열

책 제목: 『Belonging: Solidarity and Division in Modern Societies』 (소속된다는 것: 현대 사회의 유대와 분열)

지은이: 몽셰라 귀버나우 (Montserrat Guibernau)

출간일: 2013년 9월10일

출판사: 폴리티 (Polity)

종이책 분량: 242페이지



영국 런던대학의 정치학 교수로 민족주의와 인종의 다양성을 연구하고 있는 몽셰라 귀버나우 교수는 개개인의 정체성과 자율성, 선택의 자유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개인주의’가 현대 사회의 한 특징을 규정한다는 일반의 통념이 잘못된 것이라는 문제 제기로 이 책을 시작한다. 


오히려 어느 집단이나 조직, 공동체, 종교, 민족, 국가 등에 때로는 자율적으로, 때로는 강압에 못 이겨 소속됨으로써 한 개인의 정체성도 일정 부분 – 때로는 상당 부분 – 영향을 받고 새로운 양상으로 변모하거나 조정될 수밖에 없어서, 때때로 ‘개인적 정체성’(individual identity)을 칼로 무 자르듯 뚜렷하게 분리하거나 구별해내기 어렵다고 저자는 말한다. 많은 경우 개인의 정체성은 모든 것으로부터 독립된 상태 – 혹은 그렇다는 신화 – 에서보다, 그 개인이 스스로의 의지와 취향에 따라 특정한 집단이나 공동체를 선택함으로써 더 명료하게 노출된다는 것이다. 그 집단이나 공동체를 선택하는 순간까지는 개인의 자유 의지였지만, 일단 거기에 ‘소속’되면 그로부터 요구되는 일정한 규칙과 문법, 가치 체계, 의례 등을 따라야 하고, 그 과정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그 집단/공동체의 정체성과 화학 작용을 일으키면서 변화를 겪게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어딘가에 소속된다는 것은 또한 그 개인으로 하여금 정서적 애착을 불러일으키고, 같은 집단이나 공동체에 소속된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공동의 가치와 정체성을 더욱 강화한다. 이런 흐름과 변화 양상은 온라인의 여러 커뮤니티나 특정한 정치적 지향성을 갖는 이익 단체, 시민 단체들에서, 또 심심찮게 발생하는 서로 대립하는 집단이나 단체들 간의 충돌이나 폭력 사태 등을 통해 쉽게 관찰된다.


귀버나우 교수는 또한 개인의 정체성과 특정 집단이나 공동체에 소속됨으로써 갖게 되는 변형된 개인 정체성 – 혹은 집단 정체성 – 을 일종의 정치적 기제로, 정서적 애착과 정치적 운동의 도화선으로, 독재 정권의 회귀를 부르는 단서로, 네오나치즘 같은 급우 세력의 발호를 야기하는 중대 변수로 바라본다. 그러한 시각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영국, 스페인, 카탈루냐, 독일, 중동, 미국 등의 다양한 사례도 소개된다.


귀버나우 교수가 이 책을 통해 주장하는 논점의 새로움은, ‘선택’을 통해 어딘가에 소속된다는 것은 결국 그 개인의 ‘자유 의지’의 결과이며, 그로 인해 소속된 집단이나 공동체에 대한 자발적 헌신과 충성, 그리고 애착을 낳게 되는데, 이는 타의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특정 집단에 소속된 경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질이라는 주장이다. 


책의 구성

책은 감사의 말과 서문, 마지막 결론을 빼면, 모두 7장의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즘 한국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사회적 양극화 현상, 그리고 여러 구호성 단체들의 퇴행적 행태는, 귀버나우 교수의 책을 읽고 나면 놀라울 만큼 명료하게 분석되고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저히 그 접점을 찾을 수 없을 것 같은 양 극단의 주의 주장도, 또 정서적 집착도, 저자가 제시하는 ‘힐링’ 프로세스를 통하면 어느 정도 치유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일정한 정서적 애착/집착이 주어진 공동체나 공적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표출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가운데, 그 사회의 긍정적 발전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는 정서적 애착을 골라내고 북돋우는 과정이다. 


학술적 성격이 짙지만 현 한국 사회 – 그리고 미국 사회 – 의 퇴행적 정치 사회 현상을 고려하면 그 시의성과 설득력이 퍽 높을 것으로 여겨지는 책이다. 대중성은 없지만 진지하고 눈 밝은 독자들에게는 적잖은 시사점과 통찰을 안겨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