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기

책 대 영화: 양들의 침묵, 영원한 세상


양들의 침묵 (The Silence of the Lambs)


양들의 침묵 (The Silence of the Lambs)과 영원한 세상(World Without End)은 영화에 끌려 책으로 옮겨간 경우이다. 


‘양들의 침묵’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극 중에서 ‘Hannibal the Cannibal’로 불리는 광기의 식인 천재 –– 심리학자 한니발 렉터를 연기한 앤소니 홉킨스다. 그의 연기는 워낙 섬뜩하게 인상적이었고, 1991년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의 영예로 이어졌다. 오죽하면 미국영화협회(American Film Institute)가 뽑은 역대 영화사상 가장 인상적인 악역 1위에 뽑혔을까! 참고로 2위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 ‘사이코’에 나오는 노먼 베이츠, 3위는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이다. 

온라인 비디오 사이트인 넷플릭스를 뒤적이다 우연히 양들의 침묵을 다시 보게 됐고, 새삼 홉킨스의 귀기 어린 연기에 빠져들었다. FBI 신입 요원 클라리스 스탈링 역을 맡은 조디 포스터의 퍼포먼스도 수준급이었지만 홉킨스의 연기와 내공이 워낙 강력했다. 상대의 속마음을 훤히 꿰뚫을 것 같은 광기 어린 눈빛, 자유자재로 강약완급을 조절하며 대화의 - 그리고 영화 전체의 - 긴장감을 들었다 놨다 하는 가공할 발성은, 보는 사람의 심장마저 쥐락펴락 하는 듯했다. 이 영화의 원작은 어떤 내용일까? 영화와 얼마나 다를까? 

토머스 해리스의 원작 ‘양들의 침묵’을 아마존의 전자책으로 구입해 읽기 시작했다. 영화의 줄거리와 너무나 흡사한 데 놀랐다. 아니, 소설의 내용이 영상으로 얼마나 충실하게 옮겨졌는지를 확인하고 많이 놀랐다. 특히 두 주인공, 한니발 렉터와 클라리스 스탈링의 캐릭터 묘사는, 마치 본래 그림 위에 투명 습자지를 놓고 줄을 따라 그린 것처럼 정확했다. 대사까지 똑같았다. 아니, 홉킨스의 숨막힐 듯한 명연을 고려하면, 그 반대로 표현해야 맞을지도 모르겠다. 영화가 본래 그림이고, 소설이 투명 습자지 위의 복제판이라고… 


물론 소설 전체를 영화로 떠오지는 않았다.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기도 했을 테고, 길어야 두 시간, 두 시간 반밖에 안 되는 영화에서 긴장감과 속도감, 또 이야기의 집중도를 살리자면 다소 부차적이라고 여겨지는 대목을 줄이거나 아예 빼버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게 빠져서 아쉬운 대목은 스탈링의 보스인 잭 크로포드라는 캐릭터가 더 깊이 있게 그려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소설에서는 스탈링에 대한 크로포드의 복잡미묘한 심리가 퍽 흥미롭게 묘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원작 소설을 읽고 난 느낌은 ‘양들의 침묵’이 ‘원작을 가장 충실하고 훌륭하게 옮긴 영화들’ 중 하나라는 데 아무런 의심의 여지도 없다는 것. 


영원한 세상 (World Without End)


‘영원한 세상’은 영국의 베스트셀러 작가 켄 폴렛 (Ken Follett)의 동명의 소설을 영상으로 옮긴 8부작 미니 시리즈이다. 제목 ‘World without end’는 뜻은 단순해 보이지만 성서에 그 출처를 둔, 퍽 의미심장한 표현이다. 성서 에베소서 3장21절 ‘Unto him be glory in the church by Christ Jesus throughout all ages, world without end. Amen.’ (교회 안에서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영광이 대대로 영원무궁하기를 원하노라 아멘), 그리고 이사야서 45장 17절 ‘But Israel shall be saved in the Lord with an everlasting salvation: ye shall not be ashamed nor confounded world without end.’(이스라엘은 여호와께 구원을 입어 영원한 구원을 얻으리니 영세에 부끄러움을 당하거나 욕을 받지 아니하리로다)에 나오는 말을 따온 것이다. 그러니 구원 받은 세계, 영세 등의, 종교적 함의를 많이 품고 있다고 봐도 되겠다. 


또 이 소설의 내용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보면 이 말은 영세와 구원의 메시지로 위장한, 성직자의 탈을 쓰고 온갖 천인공노할 만행을 저지르는 자들을 역설적으로 빗댄 말처럼 여겨지기도 하고, 갖은 부조리와 비극적 아이러니에도 불구하고 끝없이 이어지고 지속되고 흘러가는 인간의 강퍅하고 부박한 삶을 표현한 말로 해석되기도 할 것이다. 세상은 끝없이 이어지고 또 이어지고, 그 세상을 사는 인간의 희비극 또한 그러하리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