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의 절친 - 이런 표현이 가당한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 중 한 분이 이런 짤막한 소갯글과 함께 아래 기사를 공유했다. '배우가 공연을 망친 자폐증 어린이를 도리어 옹호했다'라는 내용이다. 정확한 번역은 아니지만 어쨌든 '자폐증'으로 흔히 알려진 오티즘 (Autism) 이야기만 나오면 촉각이 곤두서고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 나로서는, 대체 무슨 이야기인가 싶어 당장 해당 기사를 읽어보았다 (덧붙이자면 'Autism'은 이 증상 자체의 변주 범위가 워낙 넓고 복잡해서, 그러면서도 제대로 진단할 수 있는 역량이 아직 안돼서, Autism Spectrum Disorder'라고 'Spectrum'을 넣는다). ABC뉴스 기사.
브로드웨이 뮤지컬 '왕과 나' (The King and I)공연 중에 오티즘을 가진 아이 - 라기보다는 'Youth'라는 표현을 <뉴욕타임즈>가 쓴 것으로 봐서 어른 쪽에 가까운, 아마도 동준이와 비슷한 10대 중후반쯤 되지 않았을까 싶다 - 가 기이한 소음을 내며 공연 분위기를 해치는 바람에 주변 관객들이 불만을 터뜨렸고, 특히 몇몇 관객은 "저런 애를 왜 데리고 왔느냐" "저 애 쫓아내라" (Get rid of the kid)고 드러내 놓고 아이의 부모를 몰아세웠던 모양이다. <뉴욕타임즈> 기사.
문제의 소동이 벌어진 직후, 대역배우로 현장에 있던 켈빈 문 로 (Kelvin Moon Loh)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언제부터 우리가 공연의 감동을 즐긴다는 명분으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동정심과 공감마저 내팽개치게 됐느냐는 그의 반문이, 내게는 특히 충격으로 다가왔다. 오티즘인 아이를 둔 부모인 나조차도, 공연장에 가서 그런 일을 겪으면 소동을 불러일으킨 쪽의 사정을 이해하려 시도하기보다는, 대체 저런 애를 이런 데 왜 데려왔느냐고 짜증과 화부터 냈을 게 분명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소란을 피운 오티즘 아이에게 분개한 관객들을 탓하거나 그들에게 서운해하기보다는, 그렇게 반응하는 것이 당연해 보이는 상황에서, 소수 약자의 시각에 설 수 있고, 하여 그들의 처지를 변호할 수 있는 켈빈 문 로의 공감 의식, 비상한 수준의 균형 감각에 더 놀란 편이었다. 내가 그렇게 할 수 없었으리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더더욱 감탄하고, 나아가 경외감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
"I am angry and sad. Just got off stage from today's matinee and yes, something happened. Someone brought their autistic child to the theater.
That being said -- this post won't go the way you think it will. You think I will admonish that mother for bringing a child who yelped during a quiet moment in the show. You think I will herald an audience that yelled at this mother for bringing their child to the theater. You think that I will have sympathy for my own company whose performances were disturbed from a foreign sound coming from in front of them.
"No. Instead, I ask you -- when did we as theater people, performers and audience members become so concerned with our own experience that we lose compassion for others?
"The theater to me has always been a way to examine/dissect the human experience and present it back to ourselves. Today, something very real was happening in the seats and, yes, it interrupted the fantasy that was supposed to be this matinee but ultimately theater is created to bring people together, not just for entertainment, but to enhance our lives when we walk out the door again.
"It so happened that during 'the whipping scene,' a rather intense moment in the second act, a child was heard yelping in the audience. It sounded like terror. Not more than one week earlier, during the same scene, a young girl in the front row- seemingly not autistic screamed and cried loudly and no one said anything then. How is this any different?
"His voice pierced the theater. The audience started to rally against the mother and her child to be removed. I heard murmurs of 'why would you bring a child like that to the theater?' This is wrong. Plainly wrong.
"Because what you didn't see was a mother desperately trying to do just that. But her son was not compliant. What they didn't see was a mother desperately pleading with her child as he gripped the railing refusing- yelping more out of defiance. I could not look away. I wanted to scream and stop the show and say- "EVERYONE RELAX. SHE IS TRYING. CAN YOU NOT SEE THAT SHE IS TRYING???!!!!" I will gladly do the entire performance over again. Refund any ticket because for her to bring her child to the theater is brave. You don't know what her life is like. Perhaps, they have great days where he can sit still and not make much noise because this is a rare occurrence. Perhaps she chooses to no longer live in fear, and refuses to compromise the experience of her child. Maybe she scouted the aisle seat for a very popular show in case such an episode would occur. She paid the same price to see the show as you did for her family. Her plan, as was yours, was to have an enjoyable afternoon at the theater and slowly her worst fears came true.
I leave you with this -- shows that have special performances for autistic audiences should be commended for their efforts to make theater inclusive for all audiences. I believe like Joseph Papp that theater is created for all people. I stand by that and also for once, I am in a show that is completely FAMILY FRIENDLY. The King and I on Broadway is just that -- FAMILY FRIENDLY - and that means entire families -- with disabilities or not. Not only for special performances but for all performances. A night at the theater is special on any night you get to go.
"And no, I don't care how much you spent on the tickets."
동준이는 어느새 열여섯 살이고, 고등학교 12학년에 다닌다. 생일이 12월인 덕택에, 아마도 졸업 연도를 한 해 더 연장해서 1년 더 학교에 다닐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그 뒤가 문제다. 무엇을 시킬 수도 없고, 보낼 만한 프로그램이나 기관도 없다. 학교에라도 보내면 적어도 반나절은 보조 교사들이 동준이를 보살펴 주었다. 동준이도 뭔가 '루틴'(routine)이 있었다. 규칙적으로 어떤 활동을 벌인다는 것의 의미는 그에게나 우리에게나 더없이 컸다. 그러나 고등학교 12학년의 제도 교육이 끝나면, 아무것도 없다. 동준이를 어떻게 해야 할지 아무런 대안도 계획도 없다. 심심하지 않도록 일주일에 몇 번씩 수영이나 걷기나 자전거 타기 같은 체육 활동을 시키는 것이, 아마도 우리가 그에게 해줄 수 있는 전부일 것이다.
그래서 켈빈 문 로의 저 에피소드는 감동적이면서도 서글프다. 해피엔딩이 아니기 때문에, 해피엔딩일 수 없기 때문에 서글프고 암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