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 기사

테크노리얼리즘 --- 신기술 ‘흑백논리’는 가라

‘테크노리얼리즘’ 새롭게 부상...인터넷을 보는 극단적 시각 배격

 테크놀로지는 사악한 것이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을 파괴할 것이다」.

「테크놀로지는 축복이며 우리를 구원할 것이 다」.

당신은 어느 편인가? 『테크놀로지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토론할 때, 사람들은 흔히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선택의 함정에 빠져버린다』라고 앤드루 셔피로는 말한다.

그는 하버드 로스쿨의 「인터넷과 사회 연구센터」의 연구원이다. 『그것은 대체로 흑백논리와 닮은 꼴이어 서, 「테크노유토피아주의자(Techno-Utopians)」나 「신(新)러다이트주의자(Neo-Luddites)」 라는 양극단의 진영으로 분열되기 일쑤다』 테크노유토피아주의자들은 인터넷의 사이버스페이스를 전혀 새로운 것, 정부가 필요없는 「멋진 신세계」로 생각한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현실 사회의 편견과 모순이 좀더 손쉽게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신러다이트주의자들은 정반대다. 산업혁명 시절, 공장의 자동화 기계가 자신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고 두려워했던 노동자들처럼, 그들은 인터넷의 신기술이 현실의 공동체를 깨뜨리고 우리의 바람직한 가치관을 와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인터넷은 혁명이지만 유토피아 약속 않는다”
 
어느날, 셔피로는 우연히 데이비드 솅크를 만났다. 미 국립공영 라디오방송(NPR)의 시사 해설자인 솅크는 지난해 정보범람 시대의 문제점을 통찰한 「데이터 스모그:정보과잉 시대의 생존법」이라는 책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 으킨 작가였다.

그들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사회의 섣부른 기대(혹은 절망)를 경계 한다는 점에서 견해가 상통했다. 『첨단기술에 의한 종말론이나 「사이버구원론」 같은 극단 논리에 빠지지 않고도 신기술의 파장과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길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셔피로는 말한다. 여기에 스티븐 존슨이 가세했다.

인터넷의 이른바 「사이버 문화」를 다루는 웹진 「피드(FEED, www.feedmag.com)」의 편집자로 유명한 존슨은 「인터페이스 문화(Interface Culture)」라 는 책을 통해 컴퓨터 기술의 진보와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감식안을 제시했다.